망상 해변에 살아남은 소나무. 살아남기 위해 눈물처럼 송진을 계속 흘리며,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

6월 2일 어제 '바질'에서는 지난 4월에 일어났던 강원도 고성 산불 피해지역을 다녀왔습니다.
바질을 만드는 윌든이 후원하는 '생명의 숲'을 통해서 다녀왔는데요,
20명이 서울 잠실에서 두 시간을 좀 넘게 달려 동해휴게소와 망상해변 일대를 둘러왔습니다.

타버린 소나무 아래로 초록빛깔로 살아남은 활엽수 씨앗들이 싹을 틔워 자라고 있다.

산불이 난 자리에 불타버린 나무들은 치워졌고, 그 빈 자리에 활엽수들이 새까맣게 타버린 소나무들 사이로 자라고 있었습니다.

동해휴게소에서 도로 너머까지 튄 불꽃이 해얀가의 해송림을 모두 태우고, 나무에 가려졌던 공장건물만 덩그라니 남겼다.

하지만, 도로 너머로 넘어가 바닷가 소나무숲을 태우고 공장만 덩그라니 남겨진, 비어버린 땅은 산불이 나던 그 날, 얼마나 격렬했었는지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살아남은 소나무.. 눈물처럼 송진을 흘리고 있다.

살아남은 소나무들은 송진을 눈물처럼 내뿜으며, 살아남기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었습니다. 손으로 만진 소나무에서 묻어온 강한 향은 얼마나 지금 힘겨운 싸움을 벌이고 있는지 느끼게 해 주었습니다.

황토를 발라 화상 치료 중인 소나무들

황토를 바른 채, 아직 화상치료를 하고 있는 소나무들도 있었습니다.
이들의 운명은 한 두 해 더 살아봐야 살아남을 수 있을지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잘려나간 둥지. 하트모양의 나이테가 희망을 이야기하는 것 같다.

이들은 살아남았지만, 결국은 살아남지 못하고 잘려나간 나무도 있었습니다. 잘려나가면서도 희망을 버리지 말라는 듯, 나이테로 하트를 그려놓은 것 같았습니다.

살아남지 못하거나 못할 소나무는 잘려나갔고, 저 멀리 잘려진 소나무들이 분쇄된 톱밥이 산처럼 쌓여있다.

잘려나간 나무들은 분쇄되어 원래는 그들이 있었을 자리에 톱밥으로 쌓여있었습니다.

불타버린 숲은 어떻게 복구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거쳐 빠르면 내년 이후에나 남 가 심겨질 것 같다고 합니다.

산불이 지나간 자리, 이제 진짜 제대로 다시 숲을 살릴 차례입니다. 숲을 살리기 위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숲의 주요한 역할 몇 가지>

- 지구온난화를 줄이기 위한 이산화탄소 흡수
- 미세먼지 정화 작용
- 빗물 보존 및 물 정화를 통한 수자원 보호
- 다양한 생물 서식처

 

숲은 우리가 가꾸고 아껴야 할 소중한 존재입니다.

 

by 환경잡지 바질

 

 

국내 최초 생물해양보호 구역인 가로림만 해양 청소를 위한 캠페인이 15일 환경운동연합에 의해 실시되었다.
환경운동연합은 ▲해양쓰레기 연간 18만 톤에 대한 감축 ▲ 해양보호구역 10% 이상 확대를 주장하며, 쓰레기 수거 및 분리 작업을 시행하였다.

해양 쓰레기 수거는 벌천포 해수욕장 19㎢을 대상으로 2시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환경운동연합 해양서포터즈에 의해 실시되었다. 

다섯 마대 이상의 쓰레기를 수거했다. 쓰레기 분류 결과, 과산화수소 통, 락스 통, 낚싯줄, 밧줄 등 어업 쓰레기가 대량 수거되었으며, 이 외에도 인근 허용된 캠핑장에서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는 샴푸통, 라면봉지, 폭죽 잔해물 등 생활쓰레기가 발견되었다.

환경운동연합 이용기 활동가는 “오늘 바다를 청소해도, 밀물 썰물이 빠져나가고 나면, 다시 바다로부터 또 새로운 쓰레기가 쌓인다”며 “점박이물범을 위한 해양생물보호구역인 곳임에도 어업활동이 허용되고 있어 그 문제가 심각하다”고 말했다.


오늘 캠페인에 참가한 박범진 씨는 "1명이 무심코 버린 우리는 쓰레기를 백 번 넘게 주웠다.”고 활동이 소감을 전했다.

“해양생물보호구역이 제대로 역할하기 위해서는 어업 등 생물 보호에 위협이 될 수 있는 행위를 금지해야 한다.”고 이용기 활동가는 말했다. 현재 우리나라 해양생물보호구역에서는 어업, 취사 행위가 허용되고 있다.

한국은 생물다양성협약국에 가입되어 있으며, 2020년까지 해양보호구역을 10%까지 달성하도록 협약하였다. 현재 보고된 한국의 해양보호구역은 2018년 현재 1.63%이다. 세계자연보전연맹에 의하면, 세계 해양보호구역은 7.26%이며,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해서는 30% 이상이 되어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를 위해 화성의 남양만 등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는 것을 기다리고 있으나, 최근 해양생물에 위협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플라스틱, 폐낚싯줄 등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조치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운동연합 해양서포터즈는 환경운동연합에서 진행하는 해양 보호 캠페인에 참여하고, 이를 홍보하는 활동을 하는 시민자원봉사단이다.


------
본 글은 오마이뉴스에 2018.12.17에 게재되었습니다.

원문 보기 : "한 명이 무심코 버린 쓰레기, 백 번을 넘게 주웠다"


한 때 하천 정비가 한창 유행이었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로 우리는 반듯한 하천을 가지게 되었고, 강변에서 자전거도 타고 달리기도 하게 되었지요.

차도 하천변에 주차할 수 있게 되었지요.

그런데, 우리는 좋아졌지만 대신 동물들은 그들이 살던 습지가 사라지면서 함께 사라졌습니다.

그런데, 그 사라진 동물이 그리웠던 걸까요?


사라진 동물들이 다시 돌아오려면, 우리에게는

습지를 살리는 노력, 하천을 깨끗이 하는 노력,

그리고, 민감한 수달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쌩쌩 자동차들이 바로 옆에서 달리고, 사람들이 쉽게 접근하는 하천변에서 살고 싶은 수달은 없을 겁니다.


버리기는 쉬우나, 다시 되찾기란 몇 배의 노력이 필요한 법입니다.



- 윌 든 -

요즘 플라스틱, 플라스틱... 환경 문제에서 정말 많이 얘기가 나오고 있지 않나요?

아마 지겨우실 수도 있을 것도 같습니다.

그리고, 플라스틱을 삼키고 죽은 이 알바트로스의 사진이 극적으로 연출되었거나,
우연히 발견한, 흔하지 않는 일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 다, 이렇게 문제 없이 살고 있는데 동정심을 자극하려고 아니야?'라고 의심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렇지가 않습니다. 

저는 지금 소개해드리려고 하는 다큐멘터리를 보며, 가슴 한 쪽이 아려왔습니다. 

우리가 뭔데 지구에게 이렇게 몹쓸 짓을 하고 있는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열린 마음으로, 이 지구에 일어나고 있는 일을 함께 봐주시길 원합니다.



A Plastic Ocean

2012

Director : Creig Lesson



저 알바트로스처럼 여기 저기 수많은 곳에서 많은 생명들이 고통받고 있습니다.

지구의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윌든

책을 읽다가 문득 고개를 들어보니, 내 주변의 사람들에서 책보던 사람들이 어느새 사라지고 있었습니다.
시계를 보니 7시가 넘은 시간. 밖은 벌써 캄캄해졌군요.


짐을 싸서 나오다 문득 뒤를 돌아보니, 아무도 없는 도서관에 불만이 환하게 켜져 있었습니다.
기후 변화에 대한 책을 읽고 나서인가, 이 불들이 심상치 않게 느껴지네요. 
저 등이 못해도 100개는 켜져 있을 텐데.... 

잠깐 계산해보니 형광등이라고 치면, 저 불들이 시간 당 1k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네요...

사람 수에 관계 없이 도서관을 이용하는 동안은 불이 켜져 있어야 하는 것은 필요한데..
탄소 배출량도 줄여야 하고 .... 


좋은 방법이 있을 거다. 생각해 봐야 겠다.






+ Recent posts